2025년 6월 3일, 대한민국은 새로운 대통령을 뽑는다.
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에 따른 조기 대선이다.
헌법 제68조 제2항에 따라 대통령이 궐위된 날로부터 60일 이내에 실시되는 선거다.
그래서 일정이 빠듯하다. 유권자로서 ‘어떤 후보를 뽑을 것인가’만큼 중요한 게 있다. 바로 어떻게, 언제, 어디서 투표해야 하는가다.
이번 글에서는 사전투표부터 본투표, 유의사항까지
실제 투표 전에 꼭 체크해야 할 핵심 정보를 정리했다.
✅ 1. 사전투표 일정 및 정보
- 사전투표일: 2025년 5월 29일(목) ~ 5월 30일(금)
- 시간: 양일 모두 오전 6시 ~ 오후 6시
- 장소: 전국 읍·면·동 사전투표소, 주소지와 관계없이 투표 가능
- 조회 방법: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 → ‘사전투표소 찾기’ 메뉴
📌 사전투표는 신고 없이 가능하다.
즉, 별도로 신청하지 않아도 전국 어디서든 사전투표소만 찾으면 투표할 수 있다.
단, 주소지와 다른 지역에서 투표할 경우, 회송용 봉투에 넣어 본인 지역으로 보내기 때문에
개표까지 시간이 더 걸릴 수 있다는 점 참고하자.
✅ 2. 본투표 일정
- 투표일: 2025년 6월 3일(화)
- 시간: 오전 6시 ~ 오후 8시까지 연장 (※ 대통령 선거는 오후 8시까지)
- 장소: 주민등록상 주소지 관할 투표소
- 확인 방법: 선관위에서 발송한 투표안내문, 또는 포털에서 ‘내 투표소 찾기’ 검색
📌 본투표는 반드시 주소지 기준 지정 투표소에서만 가능하다.
다른 지역에서는 절대 투표할 수 없으므로
선거 당일 타지역에 있다면 반드시 사전투표를 활용해야 한다.
✅ 3. 유권자 준비물
- 신분증 필수 지참
- 주민등록증
- 운전면허증
- 여권
- 청소년증
- 모바일 신분증 (PASS 앱, 정부24 모바일 주민등록증 등)
※ 단, 사진이 있더라도 신분확인이 어려운 복사본, 스캔본은 인정되지 않음
※ 학생증은 공적 신분증으로 인정되지 않으므로 예외 확인 필요
✅ 4. 투표 절차
- 투표소 도착 후 본인 확인 (신분증 제시)
- 투표용지 수령
- 기표소에서 기표
- 투표함에 투입
※ 사전투표 시 주소지 밖이면 ‘회송봉투에 넣는 절차’가 추가됨
⚠️ 5. 유의사항
- 📸 투표소 내 촬영 금지
기표소 안에서는 절대 사진 찍지 말 것. 인증샷은 투표소 밖에서만. - 📝 기표는 정확히 한 후보에만
기표란 외에 동그라미, 별표, 줄긋기 등의 추가 표시 시 무효표 처리 - ❌ 중복 투표 금지
사전투표를 했다면 본투표는 할 수 없다. 두 번 투표 시 형사처벌 대상. - 📢 선거운동 유의
선거 당일, 지지 후보 언급, 후보명 외침, 유세용 피켓 착용 등은 불법 선거운동으로 처벌될 수 있다.
🌍 6. 재외국민 및 선상투표 정보
- 재외국민 투표: 2025년 5월 20일 ~ 25일
재외공관에서 가능. 사전에 등록된 재외선거인만 해당. - 선상투표: 2025년 5월 26일 ~ 29일
👉 해외에 있는 유권자라면 반드시 선관위 해외 공지사항을 통해 일정과 장소를 확인해야 한다.
📱 7. 투표정보 확인 채널
-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: https://www.nec.go.kr
- 포털 검색어: “내 투표소 찾기”, “사전투표소 조회”
- 선관위 모바일 앱: ‘선거정보’ 앱 설치 시 내 위치 기반 투표소 확인 가능
🧠 마지막 팁: "투표는 내 일상을 바꾼다"
누구를 뽑을 것인지 고민하기 전,
먼저 '내가 제대로 투표할 수 있는지'부터 체크하자.
대선은 단 하루지만,
그 결과는 5년의 삶을 바꾼다.
6월 3일, 그 하루가 헛되지 않도록.
'lif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부모님 관절 건강을 위한 콘드로이친 (0) | 2025.04.08 |
---|---|
고(故) 김새론과 배우 김수현. 단순한 ‘사생활 논란’이 아니다. (0) | 2025.04.07 |
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이후, 대한민국 정치·경제 어디로 가야 하나 (0) | 2025.04.06 |
KBS1TV '생로병사의 비밀' - '나의 혈당일지' 편: 혈당 관리의 중요성 (0) | 2025.03.16 |
장사와 사업의 차이: 돈을 버는 방식이 다르다 (0) | 2025.03.13 |